[공부]/[정보처리기사]
[필기] 정보처리기사 22강
우주최강자맨키리
2021. 3. 23. 11:41
SMALL
TOPIC : 구조적 분석과 설계
1. 구조적 분석 (Structure Analysis)
1-1.
구조적 분석의 효과
- 구조적 시스템 분할 = 명확한 분석 가능. 따지고 보면 수학의 집합을 생각 (벤다이어그램)
- 그림 중심의 도구, '시스템 명세서' 작성 통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용이.
- 하향식 (TOP-DOWN) 기법 통해 사용
- 초기 단계에 오류 발견이 용이하다.
1-2.
구조적 분석에 사용되는 도구는 다음과 같다.
- 자료 흐름도 (DFD, Data Flow Diagram)
- 분석의 첫 번째 단계인만큼 분석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작업이다.
- 처리에 관한 내용을 동그라미에 그림. 모양이 거품과 흡사하여 Bubble Chart라고도 함.
- EX) 고객, 서점, 카드회사 간의 자료 흐름
- 자료 사전 (DD, Data Dictionary)
- 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, 자료에 관한 모든 사항을 자세하게, 사전식으로 기록하는 작업.
- EX) 고객정보 = *일부고객정보*{성명+[핸드폰번호;집]}
> 고객정보는 성명과 연락처로 구성, 핸드폰번호나 집전화를 써야하며 이를 반복 저장하겠다는 의미.
> 주석으로 달아둔 **의 경우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그냥 설명글
* 기출 빈도가 높은 파트. 기호 외워놓아야.
1-3.
소단위 명세서 (Mini-Spec)
구조적 분석의 가장 마지막 단계로, 최하위 처리에 관한 내용을 자세한 절차로 표현한다.
사용하는 도구는 다음 세 가지와 같다. (그냥 쓱 훑어볼 것)
- 의사 결정표
- 의사 결정도
- 구조적 언어
2. 구조적 설계
2-1.
설계 평가의 척도
구조적으로 설계한 시스템에 대해 두 가지 척도가 존재한다.
- 결합도 (Coupling)
- 결합도란 각각의 독립성을 가진 모듈이 붙어있는가? (외부적) ≒ 교집합
- 모듈은 독립성을 가져야 좋음. 구조적 분석 및 설계는 시스템 분할 통해 독립성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으니까.
- 따라서 결합도가 낮다 = 모듈의 독립성이 높다.
- 모듈간의 내용, 공통 주소, 제어신호, 외부, 자료, 스탬프 순으로 결합도 낮음..
- 순서 외우려 X 내용이 겹칠 수록 독립성이 낮으므로 개념 이해 우선.
- 응집도 (Cohesion)
- 응집도란 모듈 내부의 밀집도(Density) 즉, 내부적으로 내용이 빽빽한가?
- 내부 응집도가 높다 = 시스템이 에러없이 잘 작동한다.
Conclusion : 구조적 분석 및 설계에서 모듈간의 독립성 유지를 위해선 모듈간 결합도는 낮되, 모듈 내 응집도는 높아야 오류 없이 시스템이 잘 작동한다.
2-2.
구조적 프로그래밍
> 큰 내용 X, 프로그래밍에서 go to 명령문으로 복잡성이 높아 이해하기 어려움
> 때문에 순차, 조건, 반복 세 가지 기본 툴을 가장 많이 활용하게 됨.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