맨키리

목표는 세계정복 목적은 우주대통합

728x90

[공부]/[정보처리기사] 37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7강 (끝)

TOPIC : 정보통신개론 중 인터넷 파트 1. 인터넷 1-1. Definition? > TCP/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한 네트워크 의미 > 이말인 즉 모든 인터넷 사용자는 저 TCP/IP가 있어야 상호 접속이 가능함. 1-2. 경로제어 (Routing) >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, 이를 제어한다는 의미의 라우팅 > 라우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4가지는 알고 있어야. - RIP : 소규모 동종 시스템간 프로토콜, 최대 홉 수는 15 - IGP - BGP : 자율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, EGP의 단점을 보완 하기 위해 개발 - EGP : 자율시스템 간의 라우팅. 게이트웨이 (이종)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 1-3. TCP/IP >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선 꼭 있어야하는 프로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6강

·TOPIC : 정보통신개론 - 네트워크(Network) 1. 근거리 통신망 LAN (Local Area Network) 1-1. LAN이란? > 제한된 지역 내 한정된 연결 > 단일 건물 내, 한 건물 내, 회사 내.. 등 (PC방 생각) > 지들끼리만 연결하기 때문에 경로설정이 불필요하고, 확장성과 배치성이 용이하다 > 지들끼리만 연결하기 때문에 고속통신이 가능하며, 낮은 오류율 덕에 신뢰성이 높다. 1-2. LAN에서의 접근 방법? > CSMA (Carrier Sence Multiple Access) : 짧은 전파 지연 시간 이용, 충돌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. > CSMA/CD (Collision Division) : 원자 충돌하는 것 처럼 데이터끼리도 충돌함 / 따라서 교통사고 방지 위해 다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5강

TOPIC : 정보통신개론 - OSI 7계층 1. OSI 참조모델 1-1. OSI 참조 모델이란? > ISO(국제 표준 기구)에서 만든 개방형 시스템 > 7계층으로 나누어 상위층으로 갈 수록 사람에게, 하위층으로 갈 수록 기계에게 접속되는 것이 특징 상위층 계층명 계층 이름 특징 7계층 응용계층 >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6계층 표현계층 >암호화, 압축화가 특징 5계층 세션층 4계층 트랜스포트 >TCP, UDP가 있다는게 특징 하위층 3계층 네트워크 계층 >통신망 간의 중계 및 교환기능 >IP라는 프로토콜 존재 2계층 데이터 링크계층 흐름제어, 오류제어 1계층 물리계층 >실제 기계에 대해 접속하는 것 >전기, 물리, 기계, 기능적 연결>RS-232C 방식 (EIA의 25핀) 2. 데이터 회선망 2-1. 선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4강

TOPIC : 정보통신개론 / 전송제어방식 1. 전송 제어 방식 1-1. ERROR > 데이터 전송 중 에러는 필연적이다. 따라서 에러의 종류와 검출이 중요. > 전송 중 발생하는 에러는 다음과 같다. ① 감쇄 :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 ② 지연 왜곡 :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 생기는 오류 ③ 누화 잡음 (=혼선) : 전자기적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생기는 잡음 ④ 충격성 잡음 : 대부분 충격성 잡음으로 인해 에러 발생, 외부적 충격 / 통신시스템의 결함 및 파손등에 의한 기계적 충격이 일으키는 잡읍 (Impluse Noise) >에러 검출은 어떻게 할건지? ① 패리티 검사(Parity) : 한 블록의 끝에 Parity Bit 추가, 검출만 가능하고 정정이 불가하며 하나씩 검사한다. ② 순환 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3강

TOPIC : 정보통신개론 중 데이터 전송장비 파트 1. 변복조기 (모뎀) 1-1. 모뎀 특 > 변조 및 복조를 하는 이유는 컴퓨터의 데이터(Digital)와 이를 전달하는 통로(통신회선, Analog)가 성질이 다르기 때문. > IF 통로마저 Digital 이었다면 DSU(Digital Service Unit, 디지털 전송 전용 장비)를 사용하여, 모뎀이 필요 없따. >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데? 데이터발생 - CCU - 모뎀(변복조) - TCU - 단말기 > 모뎀의 특징은 변복조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는 것, NULL 모뎀이 있다는 것. > NULL모뎀? : 가상 메모리처럼 뻥치는 거, 다른 느낌이라면 실제로 연결시켜놓고 모뎀필요행 ㅠㅠ 이라 속이는 것 1-2. 모뎀의 변조 방법 > ASK(Ampli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2강

TOPIC : 정보통신개론 中 데이터통신의 기초 개념 1. 데이터통신의 기초 개념 1-1. 전송기능 > 모뎀이 Digital↔Analog 신호로 바꿀 때 부호화하는 기법은 4가지이다. > 본격적으로 접근 전, 다음 약자를 확인하여야 한다 > F (Frequency, 주파수) : 저속, 비동기식 전송 > A (Amplitude, 진폭) : 신호의 세기 > P (Phase, 위상) : 고속 전송이며 동기식 전송이다. > 위 개념을 확인 후 성질에 따른 부호화 기법을 살펴보면, ⓐ 디지털 → 아날로그 > 진폭 편이 변조 (ASK) > 주파수 편이 변조 (FSK) > 위상 편이변조 (PSK) > 혼합 변조 (=진폭 위상 편이 변조, QAM, Quardrature Shift Keying) ⓑ 디지털 → 디지털 >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1강

TOPIC : 정보통신 개론 시작 / Ch. 1 데이터 통신 1. 데이터 통신의 개요 1-1. 데이터 통신? > 데이터 통신, 정보통신, 컴퓨터통신 모두 동일하다 생각 >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 기능 + CPU의 정보처리 기능을 합친 개념 > 정보통신의 특징? : 고속 통신 가능, 에러 제어 방식, 시간 거리 개념 없이 광대역 고품질 전송 * 에러 제어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광대역으로 멀리 보내야 하니, 도착하기 전까지 발견해서 정정 가능. 따라서 신뢰도 높다. 1-2.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발전 > SAGE : 최초의 데이터 통신, 군사목적 > SABRE : 최초의 상업용 데이터 통신 > ARPANET : 최초의 유선 패킷 교환망. 현재 인터넷의 모체가 됨. / 자료를 일정 비트로 쪼개서 관리하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30강

TOPIC : 운영체제OS 마지막, UNIX운영체제 1. UNIX운영체제 1-1. UNIX의 특징 > 대부분의 명령어가 C언어로 만들어졌다. 덕분에 타 기종과의 호환성과 이식성이 좋다. > 복수사용자(Windows-UNIX, UNIX-UNIX 등..)와 복수태스킹(Multi-Tasking)의 지원이 가능하다. > 통신 기능이 매우 강력함 > 윈도우즈와 가장 큰 차이는 윈도우가 GUI기반인 반면, UNIX는 CUI 기반 (가볍게 읽기) > 대화식 운영체제 및 트리구조를 가지고 있다. 1-2. UNIX의 구성 > 커널(Kernal) :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한다; 기억장치, 입출력장치 등 프로세서를 관리한다. > 쉘(Shell) : 명령어 해석기. DOS의 COMMAND.COM과 비슷하다. > 유틸리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29강

TOPIC : 운영체제 중 '분산운영체제' 1. 처리 및 연결 방식 1-1. 병렬처리 (Parallel Processing) : 한 CPU내에 여러 PE(Processing Element)를 두고 이들이 협력해서 한 개의 프로그램을 병렬처리(다구리)함. 덕분에 프로그램의 처리속도 증가. 주로 슈퍼컴퓨터에서 많이 씀. 1-2. 프로세서 연결 방식 (1~2는 가볍게 읽되 3은 씨게) 1. 시분할 공유 버스 : 하나의 통신선로 제공, 단순, 간단, 경제적 BUT 일차선(단일 통신선로)이기 때문에 병목현상 발생 2. 크로스바 교환행렬 : 1.시분할 공유버스 에서 통신선로(BUS)를 기억장치 수만큼 증가, BUT 하드웨어 복잡해짐. 3. 하이퍼큐브 : 다수의 프로세서를 연결하여 확장성 좋음. 하나의 프로세스에 붙..

[필기] 정보처리기사 28강

TOPIC : 운영체제파트 '정보관리' 1. 파일시스템 1-1. 파일시스템의 정의? > 파일들을 디스크 등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엑세스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갖춰야할 모듈을 의미한다. > 사용자에게 파일이 어떻게 보여야할 지를 정의하고, 디스크에 논리적 파일 시스템을 구현한다. 1-2. 파일 디스크립터 (File Descriptor) > 파일 제어 블록 (FCB, File Control Block) : 파일이 액세스될 때 OS가 관리목적으로 알아야할 정보를 모아놓은 자료구조를 의미. > 파일디스크립터엔 무엇이 들어있는가? : 파일 수정시간, 이름, 접근횟수, ID(만든놈), 크기 > 정리하면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의 전반적인 정보를 담고있어 운영체제가 관리할 때에 편리해용. 1-3. 파일의 특성과 접근방식..

728x90
LIST